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은행 정기 예금 적금 금리 비교를 금리 계산기로 쉽게 활용해보기

by 포워더 2023. 11. 14.

금융 분야에서는 금리의 단어는 기본적인 단어로 사용되고 많이들 이용하고 있는데요.

지난번 포스팅한 파킹통장에 대해서도 금리를 최우선으로 소개드릴만큼

금융 쪽에서 금리라는 단어를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은행에서 금리가 높다고 이자수령이 높은 건 아니라는 건 알고 계셨나요?

은행 정기 예금, 적금 금리를 금리 계산기로 쉽게 활용하여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란?

금리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 등에 붙는 이자 또는 비율을 칭하는데요.

즉, 원금에 지급되는 이자를 비율로 표시한 것으로, 이를 이자율이라고도 하는데

금리=이자율이라고 쉽게 생각하면 됩니다.

 

금리 설명 쉽게 영상으로 보기

 

위 영상으로 쉽게 금리를 이해하기 좋습니다.

 

금리의 용어

금리에는 여러 가지 용어가 있는데요

기준금리(정책금리), 시장금리, 명목금리, 실질금리, 표면금리, 실효금리 등이 있습니다.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단리, 복리까지 있겠네요.

그중 기준금리, 실질금리, 단리와 복리를 알아보겠습니다.

 

1. 기준금리

기준 금리는 앞선 포스팅에서도 많이 언급한 단어인데요.

한 나라의 대표하는 정책금리, 즉 각종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중앙은행이 정하도록 되어있으며, 경제 수준에 맞춰 조정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기준금리는 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합니다.

기준 금리가 변동하면 어떻게 될까요?

기준 금리 변동의 영향

 

CPI 발표 포스팅에서 한번 설명드린 적이 있지만 그림으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기준 금리 상승 -> 저축, 대출 금리 상승 -> 소비, 투자 감소 -> 경기, 물가 하락

기준 금리 하락-> 저축, 대출 금리 하락 -> 소비, 투자 증가 -> 경기, 물가 상승

 

CPI가 금리에 미치는 영향 글

 

 

2. 실질 금리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금리를 명목금리라고 하고, 물가상승률을 고려해서 실질적인 가치를 반영하는 게 실질금리입니다.

예를 들어 물가 상승률이 5%일 때, 투자한 은행의 금리가 5% 금리로 이자를 받는다고 하면

실질적으로 증가한 것이 없는데 이때 실질 금리는 0에 가깝습니다.

 

실질 금리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질 금리=(1+명목금리) / (1+물가상승률) -1

 

3. 단리와 복리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를 주는 방식이고

복리는 원금+이자에 이자를 주는 방식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수익률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리 수익률 = 원금 + (이자 X 투자기간)

복리 수익률 = 원금 X (1+금리) 투자기간

복리가 더 높기 때문에 투자기간이 늘릴수록 차이가 심해집니다

 

금리 계산기

금리(이자)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네이버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클릭 하시면 바로 계산기로 이동합니다.

 

정기 예금과 적금 수익 비교, 금리계산기 활용

정기예금은 정해진 기간만큼 넣고 약속된 이자를 받는 방식이고

정기적금은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약속된 이자를 쪼개서 받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함정이 있습니다.

 

적금의 금리(이자율)이 높다고 하여 최종 수령한 금액이 큰 게 아닙니다,

왜냐하면 예금&적금 설명방식대로 이자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단순하게 예를 들어, 예금 금리가 연 4% / 적금 금리가 연 5% 라고 할 때,

금리가 높다고 5%를 많이 가입하실 텐데요

하지만 수령 금액은 예금이 더 높습니다.

여기서 금리 계산기를 활용해 보겠습니다.

 

 

예금 예시

예치금액: 1200만 원

금리: 연 4%

실 수령액: 12,406,080원

 

적금 예시

예치금액: 한 달 100만 원 총 1200만 원

금리: 연 5%

실 수령액:12,274,950원

 

이와 같이 금리가 높다고 실수령액 높은 것이 아닙니다.

이자지급방식에서 차이가 나는데 예금이나 적금을 들 때

꼭 금리 계산기 활용하여 가입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금리라는 단어가 조금 더 친근하게 다가오셨나요?

경제 쪽에서 빠질 수 없는 단어 금리,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면

경제상황이 조금 더 자세히 보일 텐데요

금리 계산기를 활용하면서 예금과 적금의 금리 비교도 해보고 괜히 뿌듯해지는 포스팅입니다.

지금 포스팅을 읽으셨다면 가입된 적금과 예금, 금리 계산기로 확인해 보세요 :)

지금까지 긴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머니 포워더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