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불안한 상황에서는 금테크도 있다는 포스팅을 적었는데요.
또한 여러 투자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자세한 상품 소개는 안해드려서 조금 간추려서 추천드리려고 하는데요.
오늘은 금시세에 맞춘 여러 상품들을 조건과 수익률을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골드뱅킹 상품
골드 뱅킹은 현물투자의 세공비와 부가세 단점을 보완하여 나오는 상품인데요.
주기적으로 매입 & 매도하는 자동이체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습니다만
배당소득세를 내야 하고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1. 신한은행 - 골드리슈 골드테크
신한은행은 국내 골드뱅킹 상품을 제일 먼저 시작하고 직접 골드바를 판매하기도 합니다.
가입대상, 가입기간, 제한 없이 개설가능하고 예약매매, 반복매매 부가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최소 0.01g부터 2억 이하까지 거래가능하고 0원으로 개설 가능합니다.
-우대율: 예약매매/반복매매 50%, 자동이체 40%, 인터넷거래 30% 우대이율 적용
스마트뱅킹 어플인 쏠에서 가입이 가능하고 가입방법은 아래와 같이 따라 해주세요.
1) 신한은행 스마트뱅킹 쏠에 들어가 상품메뉴에서 골드/실버를 클릭합니다.
2) 자세히 보기를 누르고 골드리슈 골드테크를 클릭합니다.
3) 가입하기를 눌러 출금계좌를 연결하여 완료해 줍니다.
2. 우리은행 - 우리 골드투자
우리은행에 우리 골드투자 상품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며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합니다.
신규가입은 1g 이상 구매해야 하고
-우대율: 예약매매/반복매매, 자동이체 30% 우대이율 적용
마찬가지로 스마트 뱅킹 어플에서 쉽게 가입이 가능합니다..
1. 상품에서 골드 / 실버란을 클릭합니다.
2. 우리 골드투자 상품을 눌러 가입합니다.
3. KB 국민은행 - KB골드투자통장
국민은행 역시 KB골드투자 상품으로 금뱅크 상품을 가입가능합니다.
가입기간, 가입대장은 없고 비대면으로 개설이 가능하지만 비거주는 신규개설이 불가합니다.
국민은행은 우대금리가 따로 안내되어있지 않습니다.
KRX 금투자
다른 방법으로는 KRX 금투자 방법이 있습니다.
KRX 금시장은 한국거래소가 금융위원회 승인을 받아 설립한 현물 시장입니다.
주식처럼 증권사를 통해 직접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거래가능증권사
KB증권, NH투자, SK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유안타증권,
키움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현대차증권
장점으로는 매매차익에 부과되는 세금이 없습니다.
수수료 역시 증권사 평균 0.3%의 수수료로 1% 정도 떼는 은행보다 저렴합니다.
또한 골드바로 실물 인출이 가능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증권사 금 계좌 개설을 합니다. *별도의 금 현물 거래 계좌를 만들어야 합니다.
2. 각 증권사에 "금 99.99_1kg"라고 검색합니다.
3. 매수 & 매도로 거래하면 됩니다.
19년도 이후로 차트가 훅 올라가 엄청난 상승세로 볼 수 있습니다.
금 ETF
금 ETF 상품은 대표로 KODEX 골드선물과 TIGER 골드선물이 가장 대표적인 ETF입니다.
골드선물은 뉴욕상품 거래소에 상장된 금 선물 가격을 추종합니다.
KODEX 골드선물은 삼성증권, TIGER 골드선물은 미래에셋에서 거래가 가능합니다.
두 곳 다 1년 수익률은 9%대로 안정적이네요.
안정적인 투자인 금시세에 맞게 금테크 상품들을 여러 가지 알아보았는데요.
수익율또한 높은 편이라 투자할만한 상품들이라 생각됩니다.
골드뱅킹, KRX 금투자, 금 ETF 셋 중에 본인에게 잘 맞는 투자방식을 택하면 좋을 거 같네요.
금시세가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는 지금 좋은 투자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